광주시 (경기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시는 대한민국 경기도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6년 백제가 하남위례성에 도읍을 정한 이래 376년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940년 광주로 지명이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1577년 광주부로 승격되었다. 2001년 광주군에서 광주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2읍 4면 10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상업 및 서비스업이며,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교통은 경강선, 다양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를 통해 편리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시의 행정 구역 -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면은 경기도 광주시의 면으로,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역사와 문화가 깊이 간직된 지역이며, 산성리, 엄미리, 광지원리 등 8개의 법정리와 1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남한산성과 남한산성 행궁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재와 포도, 느타리버섯, 아욱 등의 특산물이 있다. - 광주시의 행정 구역 - 광남동
광남동은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광주시 승격과 함께 광주읍에서 분동되었으며, 6개의 법정동을 관할하고 교육 환경과 주거 환경이 잘 갖춰져 있다. - 2001년 설치 - 화성시
화성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2001년 화성군에서 승격되었고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의 '화성'에서 유래, 동북부는 산지, 중앙은 구릉, 서부는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철도와 고속도로 교통망이 발달한 2025년 특례시 승격 예정 도시이다. - 2001년 설치 - 진건읍
진건읍은 1914년 진관면과 건천면의 통합으로 설치되어 2001년 읍으로 승격된 남양주시에 있는 읍으로, 교육기관, 주거 시설과 더불어 광해군묘, 사릉 등 다양한 문화유산과 사찰이 위치해 있다.
광주시 (경기도)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도시 이름 | 광주시 |
한자 표기 | }} |
로마자 표기 | Gwangju-si |
맥큔-라이샤워 표기 | Kwangju-si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수도권) |
면적 | 430.99 km² |
인구 (2024년 9월) | 396,05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행정 구역 | 2읍, 10동, 4면 |
방언 | 서울 |
![]() | |
![]() | |
행정 및 정치 | |
시장 | 방세환 (국민의힘) |
국회의원 | 광주시 갑: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광주시 을: 안태준 (더불어민주당) |
기타 정보 | |
시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행정타운로 50 |
시 홈페이지 | 광주시청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개나리 |
시조 | 제비 |
상징 동물 | 소 |
2. 역사
기원전 6년 백제의 시조 온조왕이 하남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근초고왕 25년인 370년까지 376년간 백제의 수도였다. 940년 광주로 지명이 개칭되었으며, 15세기 무렵부터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하였다. 1577년 광주부로 승격되었고, 1752년 관요가 분원리에 편입되었다. 1789년 일용면 및 송동면이 수원군에 편입되었고, 1883년 관요 폐지에 따라 분원리 가마가 민요로 이관되었다.
1906년(대한제국 고종 44년) 군이 되어 군청을 중부면 산성리에 설치하였다. 1911년 8월 29일 상척리에 대왕면청이 설치되었고, 연말에는 퇴마면이 정자리에 청사를 설치하였다.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합에 따라 광주군의 대부분(의곡면·왕륜면 제외)과 양평군 남종면을 '''광주군'''으로 편성하고, 군청은 중부면 산성리에 설치하였다. 1938년 1월 1일 경안면이 광주면으로 개칭되었다.
1963년 1월 1일 구천면·곤지암면·중대면 및 대왕면 일부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경기도 성남출장소(대왕면·낙생면·퇴마면 및 중부면 일부를 관할)가 성남시로 승격·분리되고, 면 간 관할 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1979년 5월 1일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1980년 12월 1일 동부면이 동부읍으로 각각 승격되었다. 1989년 1월 1일 동부읍·서부면 및 중부면 상산곡리가 합병하여 하남시가 발족하여 군에서 이탈하였다.
2001년 3월 21일 광주군이 '''광주시'''로 승격되고, 광주읍이 3개 행정동(경안동·송정동·광남동)으로 분동, 오포면이 오포읍으로 승격되었다. 2004년 6월 21일 초월면과 실촌면이 각각 초월읍, 실촌읍으로 승격되었으며, 2011년 6월 21일 실촌읍이 곤지암읍으로 개칭되었다. 2015년 10월 16일 중부면이 남한산성면으로 개칭되었으며, 2016년 9월 24일 경강선이 개통되었다. 2020년 12월 1일 경안동에서 쌍령동을 분동하고, 남은 경안동과 송정동을 경안동·송정동·탄벌동으로 재편하였으며, 광남동이 광남1동과 광남2동으로 분동하였다. 2022년 9월 1일 오포읍을 폐지하고 오포1·2동, 신현동, 능평동이 설치되었다.
2. 1. 백제 시대
기원전 6년, 백제의 시조 온조왕이 하남위례성에 도읍을 정하였다.[9] 근초고왕 25년인 370년까지 376년간 백제의 수도였다.2. 2. 고려 시대
940년 광주로 지명이 개칭되었다.[9]2. 3. 조선 시대
- 15세기 - 이 무렵부터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하였다.[9]
- 1577년 - 광주부로 승격되었다(다음 23면이 설치됨: 경안, 오포, 도척, 실촌, 초월, 퇴촌, 초부, 동부, 서부, 구천, 중대, 세촌, 퇴마, 낙생, 대왕, 곤지암, 왕륜, 일용, 월곡, 북방, 송동, 성곶, 의곡).
- 1752년 - 관요가 분원리에 편입되었다.
- 1789년 - 일용면 및 송동면이 수원군에 편입되었다.
- 1883년 - 관요 폐지에 따라 분원리 가마가 민요로 이관되었다.
2. 4. 일제강점기
1906년(대한제국 고종 44년) 군이 되어 군청을 중부면 산성리에 설치하였다.[10] 북하면·성곶면·월곡면이 안산군에, 초부면 및 동부면 팔당리가 양주군에 각각 편입되었다.1911년 8월 29일 상척리에 대왕면청이 설치되었고,[10] 연말에는 퇴마면이 정자리에 청사를 설치하였다.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합에 따라 광주군의 대부분(의곡면·왕륜면 제외)과 양평군 남종면을 '''광주군'''으로 편성하였다. 군청은 중부면 산성리에 설치되었으며, 경안면·오포면·도척면·실촌면·초월면·중부면·퇴마면·낙생면·대왕면·곤지암면·중대면·구천면·서부면·동부면·남종면·퇴촌면의 16개 면이 성립하였다.[10] 같은 해 9월 4일 경기도 고시 제46호에 도내 각 면의 사무소 위치를 통지하였으나, 곤지암면청 소재지는 렴곡동, 대왕면은 괴하동에 있었다.
1938년 1월 1일 경안면이 광주면으로 개칭되었다.[13]
2. 5. 대한민국
- 1963년 1월 1일: 구천면, 곤지암면, 중대면 및 대왕면 일부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었다.[19]
- 1973년 7월 1일: 경기도 성남출장소(대왕면·낙생면·퇴마면 및 중부면 일부를 관할)가 성남시로 승격·분리되었다. 면 간 관할 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 1979년 5월 1일: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승격되었다.
- 1980년 12월 1일: 동부면이 동부읍으로 승격되었다.
- 1989년 1월 1일: 동부읍, 서부면 및 중부면 상산곡리가 합병하여 하남시로 분리되었다.
- 2001년 3월 21일: 광주군이 광주시로 승격되고, 광주읍이 3개 행정동(경안동·송정동·광남동)으로 분동, 오포면이 오포읍으로 승격되었다.[14]
- 2004년 6월 21일: 초월면과 실촌면이 각각 초월읍, 실촌읍으로 승격되었다.[15]
- 2011년 6월 21일: 실촌읍이 곤지암읍으로 개칭되었다.[16]
- 2015년 10월 16일: 중부면이 남한산성면으로 개칭되었다.[17]
- 2016년 9월 24일: 경강선이 개통되었다.
- 2020년 12월 1일: 경안동에서 쌍령동을 분동하고, 남은 경안동과 송정동을 경안동·송정동·탄벌동으로 재편하였으며, 광남동이 광남1동과 광남2동으로 분동하였다.
- 2022년 9월 1일: 오포읍을 폐지하고 오포1·2동, 신현동, 능평동이 설치되었다.[18]
3. 지리
광주시는 경기도 중부에 위치하며, 동서간 27.88km, 남북간 30.26km, 면적은 431km2이다.[23] 동쪽으로 여주시, 이천시, 서쪽으로 성남시, 남쪽으로 용인시와 접하며, 북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남양주시, 양평군, 하남시와 마주보고 있다.[23] 한강 유역과 경안천 유역에 경작지가 주로 분포하고, 그 외에는 산간 계곡에 흩어져 있다.[23] 퇴촌면 등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자연이 보존되어 있지만, 난개발 및 저개발 지역이라는 단점도 있다.[23]
3. 1. 기후
광주시는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6] 연평균 기온은 11.7℃, 연평균 강수량은 1308.1mm이다.[6]월 | 최고 기온(℃) | 평균 기온(℃) | 최저 기온(℃) | 강수량(mm) | 강수일수(0.1mm 이상) |
---|---|---|---|---|---|
1월 | 2.2 | -3.3 | -8.2 | 16.6 | 3.4 |
2월 | 5.4 | -0.4 | -5.7 | 25.0 | 3.5 |
3월 | 11.7 | 5.3 | -0.5 | 35.5 | 5.3 |
4월 | 18.6 | 11.8 | 5.5 | 67.5 | 6.8 |
5월 | 23.9 | 17.2 | 11.2 | 91.4 | 6.6 |
6월 | 27.8 | 21.8 | 16.8 | 118.1 | 7.6 |
7월 | 29.2 | 24.7 | 21.2 | 374.4 | 12.9 |
8월 | 30.2 | 25.2 | 21.6 | 317.6 | 13.0 |
9월 | 26.0 | 20.2 | 16.0 | 140.5 | 7.5 |
10월 | 20.0 | 13.3 | 8.2 | 55.9 | 5.2 |
11월 | 11.9 | 6.1 | 1.0 | 45.8 | 6.8 |
12월 | 3.9 | -1.4 | -6.1 | 19.8 | 4.8 |
연평균 | 17.6 | 11.7 | 6.8 | 1308.1 | - |
4. 행정 구역
광주시의 행정 구역은 2읍 4면 10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431km2이다.[24] 광주시의 인구는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391,462명, 170,497가구이다.
이름 | 한자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
---|---|---|---|---|
초월읍 | 草月邑 | 55.89km2 | 48,213 | 21,026 |
곤지암읍 | 昆池岩邑 | 76.17km2 | 22,786 | 11,486 |
도척면 | 都尺面 | 52.16km2 | 9,446 | 5,060 |
퇴촌면 | 退村面 | 60.7km2 | 15,849 | 7,604 |
남종면 | 南終面 | 48.57km2 | 1,470 | 819 |
남한산성면 | 南漢山城面 | 33.74km2 | 2,373 | 1,198 |
경안동 | 京安洞 | 3.19km2 | 29,445 | 13,388 |
송정동 | 松亭洞 | 5.09km2 | 21,577 | 9,648 |
쌍령동 | 雙嶺洞 | 3.34km2 | 18,154 | 7,162 |
탄벌동 | 炭筏洞 | 16.79km2 | 38,680 | 16,343 |
광남1동 | 廣南1洞 | 26.13km2 | 34,157 | 16,343 |
광남2동 | 廣南2洞 | 2.28km2 | 33,328 | 11,624 |
오포1동 | 五浦1洞 | 16.02km2 | 21,317 | 9,267 |
오포2동 | 五浦2洞 | 15.09km2 | 34,245 | 13,725 |
신현동 | 新峴洞 | 8.14km2 | 36,941 | 17,019 |
능평동 | 陵平洞 | 7.69km2 | 23,481 | 10,352 |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경안동 | 경안동, 역동 |
쌍령동 | 쌍령동 |
송정동 | 송정동 |
탄벌동 | 회덕동, 탄벌동, 목현동 |
광남1동 | 삼동, 중대동, 직동, 태전동, 장지동, 목동 |
광남2동 | 태전동 |
오포1동 | 문형동, 고산동, 추자동 |
오포2동 | 매산동, 양벌동 |
신현동 | 신현동 |
능평동 | 능평동 |
초월읍 | 대쌍령리, 쌍동리, 산이리, 늑현리(勒峴里), 학동리, 선동리, 용수리, 신월리, 지월리, 무갑리, 서하리, 도평리 |
곤지암읍 | 곤지암리, 수양리, 신촌리, 봉현리, 부항리, 이선리, 만선리, 유사리, 삼합리, 건업리, 장심리, 연곡리, 오향리, 열미리(悅美里), 신개리, 삼리 |
남한산성면 | 산성리, 엄미리, 광지원리, 상판천리, 하판천리, 오전리, 불당리, 검복리 |
도척면 | 노곡리, 유정리, 방도리, 추곡리, 상림리, 도웅리, 궁평리, 진우리 |
퇴촌면 | 광동리, 관음리, 우산리, 영동리, 도수리, 오리, 도마리, 무추리, 원당리, 정지리 |
남종면 | 분원리, 금사리, 이석리, 삼성리, 귀여리, 검천리, 수청리, 우천리 |
5. 인구
廣州市중국어의 인구는 2022년 6월 기준 400,742명이며 인구 밀도는 929.8km2이다. 0~14세 인구는 16.3%, 65세 이상 인구는 14%이다. 생산 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3.8%이며, 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22.07%, 노년 인구 부양비는 13.31%이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약 106으로 남자가 다소 많다.[25]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49년 | 111,781명 | 광주군 |
1955년 | 116,971명 | |
1960년 | 139,865명 | |
1966년 | 103,217명 | 감소 원인: 현 서울특별시 강남구·송파구·강동구 지역 이관 (1962년 12월 12일) |
1970년 | 138,339명 | |
1975년 | 95,504명 | 감소 원인: 성남시 승격·분리 (1973년 7월 1일) |
1980년 | 106,746명 | |
1985년 | 151,857명 | |
1990년 | 76,593명 | 감소 원인: 하남시 승격·분리 (1989년 1월 1일) 외국인: 7명 |
1995년 | 86,156명 | 외국인: 293명 (0.3%) |
2000년 | 125,943명 | 외국인: 1,154명 (0.9%) |
2005년 | 206,304명 | 광주시 |
2010년 | 228,747명 | 외국인: 4,478명 (2.0%) |
2015년 | 310,278명 | 외국인: 14,211명 (4.6%) |
2019년 | 375,238명 | 외국인: 18,806명 (5.0%) |
6. 산업
광주시는 도농복합시로, 2014년 기준 산업 종사자 수는 115,876명이다. 이 중 2차 산업(광업 및 제조업) 종사자는 44,171명(38.1%), 3차 산업(상업 및 서비스업) 종사자는 71,544명(61.7%)이다. 2차 산업 비중은 경기도 전체보다 높고, 3차 산업 비중은 낮다.[27]
6. 1. 지역내 총생산
광주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129.151조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1.8%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1.257조원으로 0.97%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63.191조원으로 48.93%의 비중을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64.701조원으로 50.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9.6%), 건설업(7.5%), 운수업(6.3%), 부동산업 및 임대업(4.2%)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6]6.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광주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115,876명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161명(0.1%),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44,171명(38.1%),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71,544명(61.7%)이다. 2차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27.1%)보다 높고, 3차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낮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7.6%), 운수업(7.5%), 숙박 및 음식점업(8.3%),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5.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7]7. 관광
- '''남한산성''' : 병자호란 때 조선 인조가 청나라에 대항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63년 국가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고, 1971년 경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14년에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팔당호''' : 팔당댐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호수이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지점으로 '두물머리'라고도 불린다.
- 행궁
- 경안습지생태공원
- '''광주경기도자박물관''' : 조선백자를 연구하고 유적 발굴과 학술연구, 전통 도자문화 교육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조선 도자 전문 박물관이다.
- 광주조선백자요지
7. 1. 명소
- '''남한산성'''
남한산성은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 남한산에 있는 산성으로, 행정 주소 상으로는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성로 784-16 (산성리 563)에 속해 있다. 병자호란 때 조선 인조가 청나라에 대항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1950년대에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공원화된 후 현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많은 시민들이 찾는 장소가 되었다.[1]
삼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남한산성은 한때 백제의 수도 하남위례성으로 추정되기도 하였으며, 백제의 시조 온조왕이 세운 성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신라 시대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설도 있다. 조선 시대에 인조와 숙종 때에 각종 시설물을 세우고 성을 증축하여 오늘날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직전인 1907년에 일본군에 의해 다수의 건물이 훼손되기도 하였다.[1]
1963년 1월 21일 남한산성의 성벽이 국가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고, 1971년 3월 17일 남한산성은 경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제 158호), 5년 후인 1976년 7월 1일 관리사무소가 개소되었다. 1999년에는 남한산성 역사관이 개장하고, 2014년에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1]
- '''팔당호'''
팔당호는 팔당댐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호이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지점이다. 흔히 두 물이 만난다 하여 '두물머리'라 한다. 다목적댐은 아니며 일반댐이다. 북한강의 하류지점이며 남한강은 이곳에서 북한강과 합류하여 서해로 흐른다. 남쪽으론 경안천이 흘러들어온다.
- 행궁
- 경안습지생태공원
- '''광주경기도자박물관'''
광주경기도자박물관은 분원관요와 그 생산품에 대한 자료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조선백자를 연구하고 유적의 발굴과 학술연구사업, 전통 도자문화 교육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조선 도자 전문 박물관이다. 2개의 대형 전시실과 기획전시실, 다목적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규모의 야외조각공원과 장작가마, 한국정원, 다례시연장 및 광주지역에서 생산되는 도자기를 판매하는 도자쇼핑몰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광주조선백자요지
7. 2. 축제
- '''광주 왕실도자기 축제''': 조선 왕실에 진상되던 광주 백자의 전통과 우수성을 알리는 축제이다.
- '''광주 남한산성문화제''':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 '''광주 토마토축제''': 친환경 농산물인 광주 토마토를 홍보하고 판매하는 행사이다. 경기도 광주시는 2003년부터 무공해 토마토를 홍보하고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축제를 개최해 왔다.[1]
7. 3. 전통시장
경안시장[1]8. 교육
광주시에는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가 있다.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태전초등학교 | 태성초등학교 | 한아람초등학교 |
탄벌초등학교 | 초월초등학교 | 오포초등학교 |
양벌초등학교 | 선동초등학교 | 쌍령초등학교 |
삼리초등학교 | 분원초등학교 | 번천초등학교 |
만선초등학교 | 도척초등학교 | 도수초등학교 |
도궁초등학교 | 도곡초등학교 | 남한산초등학교 |
광지원초등학교 | 광주초등학교 | 매곡초등학교 |
도평초등학교 | 광명초등학교 | 광남초등학교 |
곤지암초등학교 | 경안초등학교 | 벌원초등학교 |
광주푸른초등학교 | 고산하늘초등학교 |
'''특수학교'''
9. 교통
경기 광주시는 대중교통 이용 시 다른 지역보다 200KRW에서 300KRW 정도 더 비싼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1]
버스, 철도, 도로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9. 1. 버스
광주시의 시내버스와 시외버스인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곤지암버스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 경기 광주시는 경기광주 면허임에도 광주 지역을 경유하지 않는 버스가 대한민국 전체를 통틀어 가장 많다.[1] 광주시 버스는 타 지역보다 대한민국 교통비를 200KRW~300KRW 더 비싸게 받는다.[1]시외버스는 하남에서 대구,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등을 잇는 노선이 경유한다.[1] 공항버스는 김포국제공항 경유 인천국제공항행이 운행되고 있다.[1] 시내버스는 분당선 모란역과 잇는 노선이 빈번하게 운행되고 있으며, 서울에서의 접근성이 편리하다.[1] 야탑역 경유 오리역 방면 노선도 많다.[1]
9. 2.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강선(성남시) ← 삼동역 - 경기광주역 - 초월역 - 곤지암역 → (이천시)
9. 3. 도로
- 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 국도: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 지방도: 지방도 제321호선,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337호선, 지방도 제338호선, 지방도 제342호선
- 통영-대전 중부고속도로
- * 곤지암 나들목 - 광주 나들목
10. 출신 인물
11. 자매 도시 및 우호 도시
경기도 광주시는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 및 우호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11. 1. 자매 도시
경기도 광주시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11. 2. 우호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gjcity.g[...]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3]
서적
Atlas of World Art
Laurence King Publishing
[4]
법률
Law concerning Seoul metropolitan city, provinces, counties, districts and counties
1962-11-21
[5]
법률
Establishment of new cities including Hwasung.
2000-12-20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
2023-11-22
[9]
웹사이트
광주역사-연혁
https://www.gjcity.g[...]
[10]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1]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01-01
[12]
기타
[13]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4]
법률
法律第6280号 경기도화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2000-12-20
[15]
법률
広州市条例第106号 읍·면·동·리의명칭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4-06-07
[16]
법률
広州市条例第437号 읍·면·동·리의 명칭 및 관할 구역에 관한 조례
2011-05-09
[17]
뉴스
광주시, 중부면→'남한산성면'으로 명칭 변경
http://news.naver.co[...]
[18]
웹사이트
광주시, 오포읍 폐지…4개 신설 행정동 명칭 결정
https://n.news.naver[...]
2022-09-23
[19]
법률
법률 제6280호 경기도화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2000-12-20
[20]
법률
광주시 조례 제106호 읍·면·동·리의명칭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4-06-07
[21]
법률
광주시 조례 제437호 읍·면·동·리의 명칭 및 관할 구역에 관한 조례
2011-05-09
[22]
뉴스
광주시, 중부면→'남한산성면'으로 명칭 변경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5-10-18
[23]
웹사이트
광주시의 지세
http://www.gjcity.go[...]
2012-04-05
[24]
웹사이트
일반현황 - 행정구역
https://www.gjcity.g[...]
2023-02-02
[25]
웹사이트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26]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27]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석재공장서 석판더미 깔린 60대 숨져…경찰 조사 중
경기남부서 잇단 공장 안전사고…1명 사망·1명 중상
경기 광주서 화물차 등 4중 추돌…1명 사망·1명 부상
DWS자산운용, 곤지암 물류센터 인수 완료…메이트플러스 자문 진행
"방향 꺾다가" 1층 의류 매장 돌진한 차량…4명 부상
13층 상가서 10대 추락, 지나던 행인 덮쳐 1명 사망·2명 심정지
7월 전국 3만5천가구 분양… 올 들어 ‘최고치’
경기 광주 공사현장서 추락 사고…50대 러시아인 사망
올 1분기 아파트 매매량 1년새 1.7만건 늘어
일면식 없는 행인에 흉기 들고 횡설수설…40대 남성 검거
공원개발사업 대가로 억대 뇌물 받은 전 공무원 구속기소
경기도 광주 ‘쌍령공원 개발사업’ 거액 뇌물 챙긴 전 고위 공무원 구속기소
[4/30, MK추천매물] 동탄2신도시 1층 코너 상가 6억3천만원 등
누구나 가본 팔당호반에 숨겨진 걷기 명소…귀여리를 아시나요
어르신들의 '똑버스' 이용률 높인 비결은?
“작년보다 4만6천가구 줄었다”...경기도 집값 주춤하지만 입주물량 감소가 최대 변수
사망사고 내고 블랙박스 은폐한 견인차 기사 2심서 감형
경기도, 저소득 노인 '간병 SOS 프로젝트' 온라인 접수 시작
경기도, 2040년까지 112조 투입해 서부·동부 224개 SOC 대개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